컴퓨터 느려졌을때 빠르게 하는 방법

2015. 2. 12. 08:00 고장/수리

 

 

컴퓨터가 갑자기 느려졌다면 이것저것 해보게 마련인데, 초보분들이 만지다 보면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와, 엉망진창이 되는 경우가 많다

사실, 컴퓨터가 느려졌을때의 대처법에 많은 방법이 동원될 필요는 없다

핵심적인 방법 몇가지를 적용해보고,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근본적인 원인이 다른데 있을 수 있으므로, 핵심방법 몇가지를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초보분들은 이것저것 만지고 엉뚱한 프로그램을 삭제해서 컴퓨터 상태가 더욱 악화되는 경우가 많은데, 오늘은 초보들도 쉽게 할 수 있는 핵심적인 방법 몇가지를 포스팅 하려 한다

일단 위 사진처럼 하드디스크의 LED상태를 파악하는데, 상태표시등이 계속해서 켜져있는 상태라면 보나마나 컴퓨터는 엄청나게 느린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저 급한불(?)부터 꺼줘야 뭐라도 가능한 상황이므로 불을 끄기위해 안전모드로 진입한다

 

 

컴퓨터전원을 넣고 바이오스 화면출력이 지나면 키보드의 F8키를 다다닥 연타하여 안전모드 옵션창이 나오면 맨 상단에 순수안전모드를 선택하고 엔터를 눌러 안전모드로 진입한다

안전모드로 무리없이 진입이 가능하다면, 웬만해선 하드디스크 LED상태가 안정적으로 전환된다(깜빡깜빡 함)

 

 

 

안전모드로 진입하여 웬만한 작업정도는 가능하다면, 이제 시작버튼을 눌러 명령창에 msconfig 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른다음 시스템구성창에서 시작프로그램-모두 사용 안 함 을 누른다음 확인을 눌러준다

재부팅 유무를 묻는 메세지가 출력되면 다음부터 표시 안 함에 체크해주고 재부팅 해준다

이 과정만으로도 컴퓨터의 부팅속도를 어느정도 회복 할 수도 있지만, 어느정도 심각하게 진행된 컴퓨터에서는 해결책이 전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재부팅후, 약 1분이상을 아무 작업도 하지 않은 상태로 두었다가 하드디스크 LED상태를 확인한다

이제 시작 표시줄에서 마우스 오른쪽버튼을 눌러, 작업 관리자 시작 메뉴로 진입한다음, 하단 중앙에 CPU사용 항목을 보면 순간적인 데이타 증가가 있어도 보통 30%이상을 넘지 않거나 넘어가도 곧바로 10%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이 정상이다

50%이상을 넘어간 상태가 지속된다면 프로세스 항목을 선택하여 가운데 부분에 숫자로 작업상태와 CPU 점유율이 나오므로, 20% 시상을 점유한 프로세스를 선택해 프로세스 끝내기를 눌러 종료해준다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종료된다면 CPU사용이 급감하면서 컴퓨터가 안정을 찾을 수 있다

간단한 몇개의 과정을 거쳤음에도 여전히 하드디스크 LED상태나 속도가 불안정하다면, 하드디스크 검사나 포맷을 시도하는 것이 심신건강에 좋을 수 있다.